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08

[Internet Explorer] Microsoft Edge를 여는 단추(새 탭 단추 옆) 숨기기 인터넷 익스플로러 엣지 탭 제거하기 엣지 보기 지우기 숨기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엣지 탭 제거하기입니다. 탭 부분에 있는 엣지 탭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오른쪽 상단에 설정 아이콘에서 인터넷 옵션(O)을 클릭합니다. ▲ 고급 탭에 있는 Microsoft Edge를 여는 단추(새 탭 단추 옆) 숨기기를 체크합니다. 2020. 7. 19.
[Internet Explorer] 인터넷 익스플로러 자동 완성 켜기 끄기 자동 완성 설정하기 자동 완성 기능 삭제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자동 완성 켜기 끄기, 기록 삭제하기입니다. 주소창에 입력하거나 검색에서 사용하는 자동 완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자동 완성의 기록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오른쪽 상단에 설정 아이콘에서 인터넷 옵션(O)을 클릭합니다. ▲ 내용 탭에 있는 자동 완성의 설정(I)을 클릭합니다. ▲ 자동 완성 사용 대상에서 원하는 기능을 체크합니다. ▲ 자동 완성의 기록을 삭제를 원할 경우 자동 완성 기록 삭제(D)을 클릭합니다. 2020. 7. 19.
[Windows 10] 윈도우10 스크린샷 폴더 위치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스크린샷 폴더 위치 변경하기입니다. 스크린샷 키를 눌러 저장되는 스크린샷 폴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사진에서 스크린샷 폴더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속성(R)을 클릭합니다. 다운로드 속성에서 위치 탭을 클릭합니다. 이동(M)을 클릭해서 원하는 폴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2020. 7. 19.
[Windows 10] 윈도우10 설치 프로그램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설치 프로그램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입니다. 지속적으로 관리자 권한으로 설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 작업 표시줄이나 바탕화면에 있는 설치 프로그램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 속성(R)을 클릭합니다. ▲ 바로 가기 탭에서 고급(D)을 설정합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R)을 클릭합니다. ▲ 이 옵션을 사용한면 바로 가기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허용합니다. 2020. 7. 18.
[Tistory] 티스토리 블로그 Bing 사이트 등록하기 빙 검색 엔진 빈도 높이기 빙 노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티스토리 블로그나 웹 페이지를 빙 검색 엔진 빈도 높이기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빙에서 검색할 때 블로그가 상위노출 됩니다. 먼저 빙 마스터 도구에 접속합니다. https://www.bing.com/toolbox/webmaster Bing - 웹 마스터 도구 모바일 지원 Bing 모바일 지원 수준 확인 도구로 사이트가 모바일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bing.com ▲ 링크에 접속 후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소유하고 있는 블로그나 사이트의 내 웹 사이트 정보를 입력합니다. ▲ 블로그나 웹 사이트의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서 태그를 붙여넣습니다. https://codeomni.tistory.com/manage/ TISTORY .. 2020. 7. 18.
[Windows 10] 윈도우10 작업 표시줄 미리 보기 끄기 미리보기 차단하기 설정 변경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작업 표시줄의 미리보기 끄기 설정하기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미리보기를 끄는 방법입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검색합니다. ▲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askband ▲ 위 주소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 만들기(N) - DWORD(32비트) 값(D)을 클릭합니다. ▲ 값의 이름(N)은 NumThumbnails로 지정합니다. ▲ 값 데이터(V)는 0 입니다. ▲ 설정 후 재시작하면 미리보기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2020. 7. 18.
[Windows 10] 윈도우10 작업 표시줄 미리 보기 크기 변경하기 미리보기 크기 크게 작게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작업 표시줄의 미리보기 크기 변경하기입니다. 미리보기의 크기를 변경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검색합니다. ▲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askband ▲ 위 주소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 만들기(N) - DWORD(32비트) 값(D)을 클릭합니다. ▲ 값의 이름(N)은 MinThumbSizePx로 지정합니다. ▲ 값 데이터(V)는 200~500 사이입니다. (10진수 기준) ▲ 설정 후 재시작하면 미리보기 창의 크기가 변경됩니다. 2020. 7. 18.
[Tistory] 티스토리 블로그 zum 줌 사이트 등록하기 줌 검색 엔진 빈도 높이기 줌 노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티스토리 블로그나 웹 페이지를 줌 검색 엔진 빈도 높이기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줌에서 검색할 때 블로그가 상위노출 됩니다. ZUM - 사이트 검색등록 help.zum.com ▲ 먼저 zum 검색등록에 접속합니다. https://help.zum.com/submit/ ▲ 링크에 접속 후 신규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이트 등록 안내와 등록 정보에 등록 사이트 정보를 입력합니다. 2020. 7. 18.
[Windows 10] 윈도우10 빠른 시작 전원 옵션 설정하기 빠른 시작 켜기/끄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빠른 시작 전원 옵션 설정하기입니다. 전원을 설정하여 빠른 시작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Windows 설정에서 시스템을 클릭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전원 및 절전을 클릭합니다. ▲ 관련 설정에 있는 추가 전원 설정을 클릭합니다. ▲ 왼쪽 메뉴에 있는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합니다. ▲ 전원 단추 정의 및 암호 보호 설정에서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 종료 설정에 있는 빠른 시작 켜기(권장)을 클릭합니다. ▲ 체크되면 켜지고 체크 해제하면 꺼집니다. 2020. 7. 17.
[Windows 10] 윈도우10 사용자 계정 삭제하기 계정 지우는 방법 제거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사용자 계정 제거하기입니다. 사용하지 않는 계정을 지우는 방법입니다. ▲ 제어판을 검색합니다. ▲ 계정 유형 변경을 클릭합니다. ▲ 변경할 계정을 클릭합니다. ▲ 계정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계정의 파일이 필요 없을 경우 파일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계정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0. 7. 17.
[Windows 10] CMD 윈도우10 계정 명령 프롬프트로 추가하기 명령어 계정 만들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메인보드 명령어로 윈도우 계정 추가하기입니다. ▲ 먼저 실행에 들어가서 CMD.EXE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검색에 CMD를 검색합니다. ▲ 명령어 net user "계정 이름" /add를 입력합니다. ▲ 계정 생성된 화면입니다. 2020. 7. 17.
[Windows 10] 윈도우10 색인 옵션 특정 검색 확장자 파일 제외하기 동영상 문서 파일 빼기 파일 형식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색인 옵션으로 검색 확장자 제외 설정입니다. 특정 문서, 동영상 등을 확장자로 검색에서 제외하는 설정입니다. ▲ 색인 옵션을 검색합니다. ▲ 제어판에서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 고급(M)을 클릭합니다. ▲ 파일 형식 탭에서 특정 파일을 체크 해제합니다. ▲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0. 7. 17.
[Windows 10] 윈도우10 색인 옵션 특정 검색 폴더 제외하기 폴더 검색에서 빼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색인 옵션으로 검색 폴더 제외 설정입니다. 특정 폴더의 검색을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 색인 옵션을 검색합니다. ▲ 제어판에서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수정(M)을 클릭합니다. ▲ c드라이브에 사용자를 클릭하면 검색을 할 수 있는 선택된 폴더가 있습니다. ▲ 체크를 해제하면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 해당 폴더를 지정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0. 7. 17.
[Windows 10] 윈도우10 네이버 클라우드 설치하기 naver cloud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설치하기입니다. 설치 프로그램으로 폴더와 동기화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ww.cloud.naver.com/ ▲ 네이버 클라우드에 로그인합니다. ▲ 왼쪽 하단에 위치한 윈도 탐색기를 클릭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맞는 bit를 선택합니다. ▲ 설치를 원하시면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치할 폴더를 지정한 후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 마침 버튼을 클릭합니다. ▲ 로그인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클라우드에 로그인을 합니다. ▲ 동기화를 설정합니다. ▲ 클라우드의 파일/폴더 선택을 합니다. ▲ 설치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2020. 7. 16.
[Windows 10] 윈도우10 계정 관리자 표준 사용자 설정하기 계정 유형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계정을 관리자 유형으로 변경하기입니다. 계정 유형을 관리자 사용자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검색에서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 계정 유형 변경을 클릭합니다. ▲ 변경할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 계정 유형 변경을 클릭합니다. ▲ 원하는 권한으로 선택 후 계정 유형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0. 7. 16.
[Windows 10] 윈도우10 설치 프로그램 폴더 바로가기 키 지정하기 단축키 설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설치 프로그램, 폴더에 바로가기 키 지정하기(단축키)입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찾아서 실행하는 방법이 아닌 단축키를 눌러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작업 표시줄이나 바탕화면에 있는 설치 프로그램을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 바로 가기 탭에서 바로 가기 키(K)를 설정합니다. ▲ 클릭 후에 원하는 키를 누르면 조합이 자동 생성됩니다. ※ ESC, TAB, SPACE, PRINT SCREEN, BACKSPACE 키는 단축키로 사용X 2020. 7. 16.
[Windows 10] 윈도우10 Skype 자동 실행 끄기 시작프로그램에서 끄기 차단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Skype 자동 실행 끄기입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Skype가 자동 실행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 Skype에서 더보기 메뉴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정을 클릭합니다. ▲ Ctrl+콤마를 눌러도 됩니다. \ ▲ 일반 탭을 클릭합니다. ▲ 자동으로 Skype 시작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시작프로그램에서 Skype를 끔으로 설정합니다. 2020. 7. 16.
[Windows 10] 윈도우10 사용자 계정 이름 바꾸기 계정 이름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사용자 계정 이름 변경하기입니다. ▲ 검색으로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 계정 이름 변경을 클릭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계정의 새 계정 이름을 입력합니다. ▲ 입력 후 이름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2020. 7. 16.
[Windows 10] 윈도우10 웹캠 카메라 디바이스 사용 안함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웹캠 디바이스 사용 안함 설정하기입니다. ▲ 장치 관리자를 검색 후 클릭합니다. ▲ 카메라의 설치된 웹캠 장치를 선택 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디바이스 사용 안함(D)을 클릭합니다. ▲ 알림 창에서 예(Y)를 클릭합니다. ▲ 디바이스 작동이 중지됩니다. 2020. 7. 15.
[Windows 10] 윈도우10 일정에 이메일 구글 애플 icloud 계정 캘린더 동기화하기 구글 일정 추가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일정에서 구글, 애플(icloud) 계정 캘린더 추가하기입니다. 추가적인 이메일이나 계정을 등록해서 일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검색으로 일정을 실행합니다. ▲ 계정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구글 계정이나 애플 계정을 선택합니다. ▲ 계정에 로그인을 합니다. ▲ 확인할 메시지를 입력합니다. ▲ 계정을 설정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계정을 추가한 일정 화면입니다. 2020. 7. 15.
[Windows 10] 윈도우10 음성 녹음기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음성 녹음기 사용하기입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녹음할 수 있습니다. ▲ 음성 녹음기를 검색합니다. ▲ 녹음 버튼을 누르면 녹음이 됩니다. ▲ 편집 버튼을 눌러 원하는 부분을 자를 수 있습니다. ▲ 공유와 삭제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2020. 7. 15.
[Windows 10] 윈도우10 압축 프로그램 사용없이 압축하기 (ZIP)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압축 프로그램 사용없이 압축하기입니다. ▲ 압축할 파일, 폴더의 상위 폴더에서 공유 탭에 있는 압축(ZIP)을 클릭합니다. ▲ 해당 탭은 오른쪽 상단에 있는 화살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압축 파일의 용량이 클 경우 시간 소요가 많습니다. 2020. 7. 15.
[Windows 10] 윈도우10 이모티콘 사용하기 이모티콘 적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에서 이모티콘 적용하기입니다. 원하는 이모티콘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키 + .(마침표 키)를 누르면 사용 가능한 이모티콘 화면이 표시됩니다. 2020. 7. 15.
[Windows 10] 윈도우10 폴더 아이콘 변경하기 원하는 아이콘 적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폴더 아이콘 변경하기입니다. 원하는 아이콘으로 폴더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변경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속성(R)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지정 탭에서 아이콘 변경(I)을 클릭합니다. ▲ 찾아보기(B)를 선택하면 원하는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아이콘 파일의 형식은 .ico 입니다. ▲ 원하는 이미지로 폴더 파일을 지정했습니다. 2020. 7. 14.
[Windows 10] CMD 컴퓨터 메인보드 명령어로 제품명 확인하기(미개봉)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메인보드 명령어로 제품명 확인하기(미개봉)입니다. ▲ 먼저 실행에 들어가서 CMD.EXE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검색에 CMD를 검색합니다. ▲ 명령어 wmic baseboard get product를 입력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메인보드의 제품명이 출력됩니다. 2020. 7. 14.
[Windows 10] CMD 컴퓨터 인터넷 속도 빠르게하기 DNS 캐쉬 플러시 초기화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인터넷 속도 빠르게 설정하기입니다. ▲ 먼저 실행에 들어가서 CMD.EXE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검색에 CMD를 검색합니다. ▲ 명령어 ipconfig /flushdns를 입력합니다. ▲ DNS 확인자 캐시를 플러시했습니다. 2020. 7. 14.
[kakaotalk] 카카오톡 파일 동영상 저장위치 알아보기 저장폴더 위치 경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카카오톡에서 파일(동영상) 저장폴더 위치 알아보기입니다. 카카오톡에서 저장한 파일(동영상)의 폴더 경로입니다. ▲ 기본 설정은 C:\Users\사용자 이름\Documents\카카오톡 받은 파일 입니다. 2020. 7. 14.
[Chrome] 크롬 홈페이지 설정하기 원하는 홈페이지 지정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크롬에서 홈페이지 설정하기입니다. ▲ 메뉴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S)을 클릭합니다. ▲ 시작 그룹에서 특정 페이지 또는 페이지 모음 열기를 선택합니다. ▲ 새 페이지 추가를 클릭합니다. ▲ 홈페이지로 지정하고 싶은 페이지를 추가합니다. ▲ 설정한 뒤에 크롬을 끄고 재접속하면 설정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0. 7. 14.
[Windows 10] CMD 컴퓨터 프린터 스풀러 수동으로 멈추기 프린터 정지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수동으로 프린터 스풀러 멈추기입니다. ▲ 먼저 실행에 들어가서 CMD.EXE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검색에 CMD를 검색합니다. ▲ 명령어 net stop spooler를 입력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린터의 스풀러를 멈춥니다. 2020. 7. 13.
[Windows 10] CMD 컴퓨터 MAC address 맥 주소 알아보기 물리적 주소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10 에서 물리적 주소(맥 주소를 확인하기)입니다. ▲ 먼저 실행에 들어가서 CMD.EXE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검색에 CMD를 검색합니다. ▲ 명령어 getmac /v를 입력합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맥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