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총정리8 - 메모리 관리와 동적 할당 - malloc, calloc, realloc, free 함수
메모리 구성 프로그램 실행 시 운영체제에 의해 마련되는 메모리의 구조는 코드, 데이터, 힙, 스택 영역으로 구분된다. 코드 영역 -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 CPU가 저장된 명령문을 하나씩 가져가서 실행 데이터 영역 - 전역변수와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가 할당, 프로그램 종료 시 까지 남아있다. 스택 영역 - 지역변수와 매개변수가 할당, 함수의 종료 시 소멸 힙 영역 - 원하는 시점에 변수를 할당, 소멸하는 변수 메모리 동적 할당 하나의 전역변수(배열) 사용하면 함수를 호출하게 되면 얻게 된 정보를 유지되지 않는다. 힙 영역에서 함수가 매번 호출 시 새롭게 할당되고, 함수 종료 시 유지되는 변수를 생성한다. malloc, free 함수 힙 영역의 메모리 공간의 할당과 해제를 하고, 함수의 호출 위치..
2023. 9. 1.